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9618(Print)
ISSN : 2671-7506(Online)
Chinese Studies Vol.91 pp.375-401
DOI : http://dx.doi.org/10.14378/KACS.2025.91.91.16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Desire in the Novel Jin Ping Mei : With a Focus on Buddhist Faith

Lee Seo-Hyun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양교육원 전임연구원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Buddhist elements in the Ming dynasty novel “Jin Ping Mei”, focusing on the character ‘Wuyueniang’. “Jin Ping Mei” is a work that realistically depicts human's infinite desires and the conflicts arising from them. The keyword ‘desire’ is explicitly revealed in the spatial background, narrative features, and character portrayals of the novel. In contrast to the other characters pursuit of desires and their tragic endings, Wuyueniang stands out as the only character who does not succumb to desires but transforms them through ‘Buddhist faith’. Through the analysis of Wuyueniang’s Buddhist faith, this study reveals that Buddhism functions not merely as a religious background but as a driving force for overcoming desire. Despite being in the whirlpool of desires, Wuyueniang attempts to overcome her troubles by transforming her desires through Buddhist faith. This shows that “Jin Ping Mei” not only exposes the nature of desire but also present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desire through Buddhism. This study illuminat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desire and appropriately transforming and controlling it from a Buddhist perspective.

초록

본 연구는 명대소설 금병매에 나타난 불교적 요소를 ‘오월랑’이라는 인물을 중심 으로 분석하였다. 금병매는 인간의 무한한 욕망과 그로 인한 갈등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욕망’이라는 키워드는 소설의 공간적 배경, 서사적 특징, 인물형상 에도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금병매에 나타난 인물들의 욕망 추구 양상 및 그들의 비극적 결말과는 대조적으로, 욕망에 압도되지 않고 욕망을 ‘불교 신앙’으로 전환한 유일한 인물이 바로 오월랑이다. 오월랑의 불교신앙 분석을 통해 불교가 단순한 종 교적 배경이 아닌 인물의 욕망 극복의 동력으로 작용했음을 밝혔다. 오월랑은 욕망 의 소용돌이 속에서 불교 신앙으로 욕망을 전환하며 번뇌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금병매는 욕망의 본질을 드러내는 것과 동시에 불교를 통한 욕망 극복의 가능성을 제시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욕망을 이해하고 그것을 적절히 전환하고 절제하는 것의 중요성을 불교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다.

Figure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