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9618(Print)
ISSN : 2671-7506(Online)
Chinese Studies Vol.91 pp.1-24
DOI : http://dx.doi.org/10.14378/KACS.2025.91.91.1

From Fragments of Memory to Narratives of Healing : Loss and Ethical Response in Yang Jiang’s We Three

Koh Hye-Lim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Yang Jiang’s memoir We Three transforms a narrative of family loss into an ethical discourse of trauma and healing. Combining Paul Ricoeur’s concepts of “narrative identity” and “re‐contextualization of meaning” with trauma narrative theory—particularly the devices of temporal dislocation, indirect narration, and repetitive imagery—the study conducts a close reading of the text’s metaphorical network, temporal structure, and strategic silences. The analysis reveals that personal loss is elevated to a public act of witnessing, while distorted time and shifting space facilitate the socialization of memory. By demonstrating how metaphor, repetition, and silence realize the ethical dimension of memory, the study offers a hermeneutic framework applicable to contemporary Chinese trauma literature. Although limited to a single text, the findings open avenues for comparative research across female authors and suggest further work on reader reception and digital memorial politics.

초록

본 연구는 양쟝(杨绛)의 산문 우리 셋(我们仨)에 나타난 가족 상실 서사가 트라 우마 기억을 어떻게 문학적으로 재현하고 치유 담론으로 전환되는지를 분석한다. 리 쾨르의 ‘내러티브 정체성’과 트라우마 서사의 ‘시차적 반복, 간접 서술’을 복합 적용 하여 꿈, 은유, 침묵 등 미학적 장치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 상실 은 회고를 통해 공적 윤리로 승화되며 기억의 사회화를 이끄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고는 중국 현대문학에 있어서의 트라우마 연구에 해석학적 분석틀을 제공함으로써 상실 서사의 윤리적,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였다. 또한 단일 텍스트 집중 분석의 제 한을 인정하면서도 동일 이론 틀을 여성 작가간 비교 연구로 확장할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향후 독자 수용 연구와 디지털 매체를 통한 기억 정치학 탐구도 제안한다.

Figure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