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9618(Print)
ISSN : 2671-7506(Online)
Chinese Studies Vol.89 pp.127-150
DOI : http://dx.doi.org/10.14378/KACS.2024.89.89.7

Study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Blended Learning : Korean Language Programme in Chinese Universities

Yang Fan*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과정, 지린외국어대학교 강사

Abstract

With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the ‘blended’ classroom teaching model has begun to be integrated into the open education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response to the trend of the times, many Chinese universities have integrated modern information technology with distance education, and constructed a ‘hybrid’ teaching model based on online core courses, online learning space, online teachers, online learning services, online learning evaluation, and online teaching management.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nt and design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era of online edu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ource construction of the ‘Applied Korean’ major in Chinese universities, that is, the idea of writing teaching materials that focuses on college students and independent learning on online platforms. It introduces the contents of Korean pronunciation, vocabulary, grammar and grammar explanation, assessment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related writing sequence.

혼합형 수업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필요성에 대한 연구 - 중국 내 대학 한국어학과를 대상으로

초록

정보 기술이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응용됨에 따라 ‘혼합형’ 수업 교육 모델이 대학 교의 개방 교육에 점차 융합되고 있다. 중국의 많은 대학교들은 시대의 조류를 따라 현대 정보 기술과 원격 개방 교육의 결합을 통해 온라인 핵심 과정, 온라인 학습 공 간, 온라인 교수진, 온라인 학습 서비스, 온라인 학습 평가, 온라인 교수 관리 등을 중심으로 한 ‘혼합형’ 교수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개방대학의 ‘응용 한국어’ 전공 교재 편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한 자율 학습을 강조하는 하는 교재 편찬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온라인 교육 시대에 적합한 교재의 내용 및 디자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구는 한국어 발음, 전문 용어, 한국어 문법 및 문법 프로젝트, 평가 방안 등 교재 편찬에 있어 중요한 요소들을 살펴보고, 각 항목 별로 제시되는 편찬 순서를 구체적으로 소 개하였다.

Figure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