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9618(Print)
ISSN : 2671-7506(Online)
ISSN : 2671-7506(Online)
Chinese Studies Vol.87 pp.311-332
DOI : http://dx.doi.org/10.14378/KACS.2024.87.87.15
DOI : http://dx.doi.org/10.14378/KACS.2024.87.87.15
Analysis of Competitiveness and Export Fluctuation Factors between Korea & China in the Parts, Materials, and Equipment Industries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competitiveness of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of both Korea and China and evaluates the factors of increase or decrease in Korea’s exports to China. This analysis target is a total of 94 items based on HS 6 units, including semiconductors, displays, electricity·electronics, and automobiles, which are Korea‘s main industries and the analysis period is set from 2018 to 2023.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rade statistical indicators such as EBI(Export Bias Index), RSCA(Revealed Symmetric Comparative Advantage Index), CMS(constant market share) are as follows. First, While display-related items were decreasing. semiconductor-related items showed increasing trend of export bias. Automobile-related items had an import bias toward China. Second, except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items, semiconductor, display, and automobile-related items showed relatively export competitiveness. Third, Competitive effect and Secon-order effect had a greater impact than Scale effect on Korea’s export decline in China in 2023, compared to 2018.
한·중 양국의 부품·소재·장비 산업 경쟁력과 수출변동요인 분석
초록
본 논문은 최근 6년간(2018년~2023년) 한국의 주력 산업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 기·전자, 자동차 등 HS 6단위 기준 총 94개 품목을 대상으로 수출편향지수(EBI), 대 칭적 현시비교우위지수(RSCA), 불변시장점유율(CMS) 등 무역통계지표를 통해 한· 중 양국의 소재·부품·장비의 경쟁력과 수출증감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반도 체 관련 품목의 대중국 수출편향이 증가한 반면 디스플레이 품목은 EBI 지수 감소 하고 있어 중국 내 품목으로 대체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자동차 관련 품목의 EBI 지수가 전체 분석 기간 1 이하로 중국에 대한 수출집중도가 낮을 뿐 아니라 수입 편향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칭적 현시비교우위지수(RSCA) 분석에서 품목별 차이는 있지만 전기·전자 품목은 세계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경 쟁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반면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자동차 관련 품목은 일부 품목 을 제외하고 중국과 비교하여 비교우위를 나타내고 있었다. 불변시장점유율(CMS) 분석에서 기준년도(2018년) 대비 비교연도(2023년)의 한국의 대중국 감소 요인이 수 입규모요인보다 경쟁력요인과 수입구조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이는 한국의 소재·부품·장비 관련 품목의 경쟁력 감소와 일본 등 제3국의 경쟁력 상승으로 인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