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9618(Print)
ISSN : 2671-7506(Online)
Chinese Studies Vol.59 pp.181-198
DOI : http://dx.doi.org/10.14378/KACS.2017.59.59.12

A study on Developing an Learner-centered General Chinese Curriculum : Analysis of curricular and learner needs

Lee, Hyo-Young
**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학부 중국어전공 조교수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quality of general Chinese in university by developing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based on student's needs. In an effort to develop an effective general Chinese program of a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examined curricular and learner needs for general Chinese courses of universities. The curricular of general Chinese programs collected from a total of 46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to examine class teaching hours, credits, courses, diffentiated-level classes, special courses, and a waiving policy of credits based on student proficiency. Also the survey and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 students studying in one university (N=387) to find out their needs on general Chinese courses. The curricular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s: 1) When analyzing the general Chinese courses curriculum of 46 universities surveyed, most of universities preferred 2~3 hours/2~3 credits Chinese courses,; 2) The results of survey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ve strong needs for improving differentiated-level education. 3) It seems to be necessary to accommodate learners, teachers demand and realistic constraints on learning Chinese language learners.

학습자 중심 교양중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교육과정 현황 조사 및 학습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이효영**
**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학부 중국어전공 조교수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의 교양중국어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교양중 국어 교육 체계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시도의 일환으로 현재 전국 대학의 교양중국어 교육과정 현황과 두 개 대학 학습자들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충분한 이해와 요구에 따라 학습자 중심의 교육 과정 및 지침을 개발하여 효율적인 교양중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국내 46개 대학에서 수집한 교양중국어 교육과정을 비교,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은 교양중국어 필수 지정 여부, 시수, 학점, 수준별 분반, 교과목, 교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교양중국어 과정에 대한 인식과 관련 요구도를 조사하고 분석 하였다.

Figure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