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9618(Print)
ISSN : 2671-7506(Online)
Chinese Studies Vol.60 pp.241-264
DOI : http://dx.doi.org/10.14378/KACS.2017.60.60.15

A study on China Shipbuilding Industry’s National Competitiveness Change

Park, Sun-Hwa, Tu, Bo
research professor in BK21 plus, Dong-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research professor in BK21 plus, Dong-A University

Abstract

This paper has used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study China shipbuilding industry’s national competitiveness change. Based on Porter’s Diamond Model, it has analyzed key factors pertaining to China shipbuilding industry such as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and 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Also it has analyzed China government’s supportive strategies and policies’ characteristics on shipbuilding. China is carrying forward a ‘choose and concentrate’ strategy to support excellent shipbuilders and reject insolvent ones. Government’s suppo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ipbuilding’s national competitiveness. By proclaiming government’s supportive policy on shipbuilding industry adjustment, China can induce not only competitive relations among rival companies, but also vitalizations among front and rear industries. This will lead to shipbuilding industry’s advance in quality and build a sustainable industrial structure.

중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정책변화 고찰

박선화, 두보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BK21 플러스 사업단 연구교수

초록

본 논문은 포터(Porter)가 제시한 요소조건, 수요조건, 연관·지원 산업 실태 및 기업전략, 구조 및 경쟁관계를 토대로 중국 조선산업에 관련한 현황을 고찰하였다. 또한 중국 정부의 조선산업에 대한 지원전략과 정책 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본과 한국의 사례와 비교하면 중국은 부실기업을 정리하고 우수기업을 더욱 지원하는 ‘선택과 집중’ 이라는 전략으로 조선산업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조선산업에 대한 한·중·일의 위기극복 노력은 모두 정부주도로 추진되어왔으며, 조선산업의 특징을 고려하여 볼 때 정부의 지원은 산업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국은 조선산업의 구조조정 지원정책을 통해 동종기업 간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전․후방 산업간 연계된 지원전략을 통한 산업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이는 조선산업의 질적 선진화와 지속가능한 산업구조 구축으로 이어져 외부 위기에 강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게 할 것이다.
 

Figure

Table